김미경,김상균,김세규,김승주,이경전,이한주,정지훈,최재붕,한재권 저
이임복 저
김상균,신병호 공저
유민호,임동민,아곤,한서희 저
이임복 저
이승환 저
KAIST 김대식 교수의
뇌과학, 인류학, 컴퓨터과학으로 보는 ‘21세기 대항해시대’의 서막, 메타버스 “우리는 왜 현실에서 도피할 수밖에 없을까?” “탈현실화된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도대체 현실이란 무엇일까?” 오늘날 가속화되는 다섯 가지 트렌드가 있다. 탈세계화와 신냉전, 기후 위기와 정체성 위기,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해 더욱 두드러진 탈현실화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21세기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칠 흐름은 단연 탈현실화다. 그리고 이러한 탈현실화의 한가운데 바로 메타버스가 있다. 메타버스는 단순한 게임이 아니다. 비국지적 경험이 가능하며 여러 개의 몸을 지닐 수 있는 미래 인터넷, 체화된 인터넷, 디지털 현실 플랫폼이다. 따라서 우리가 이주할 새로운 현실은 더 이상 아날로그 현실이 아니다. 그런데 아날로그 동물인 우리 인간이 디지털 현실을 체험하는 것이 가능할까? 뇌과학적으로, 우리 뇌는 ‘현실’을 끊임없이 재구성해 받아들이기에 메타버스에서 살아가는 것은 생물학적인 인간에게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Z 세대의 뇌는 이미 부분적으로 자신들의 고향을 디지털 현실이라고 여기며, 놀이, 사회활동, 소비를 디지털 현실에서 이어가고 있다. 요컨대, 21세기 대항해시대는 이미 시작되었다. 그런데 메타버스라는 이 디지털 현실이 인류 역사의 방향을 완전히 뒤바꾸고 있다. 지난 1만 년의 역사는 서로 다른 문화와 기술이 한데 얽히며 여러 ‘현실들’이 통합되어 가는 과정이었고 그 통합의 정점에 인터넷이 있었지만, 역설적으로 모바일 인터넷이 진화한 인터넷 3.0 또는 몸을 지닌 인터넷인 메타버스가 ‘현실’을 다시 여러 개로 갈라놓고 있기 때문이다. 메타버스가 우리의 두 번째 현실이라면, 우리는 피할 수 없는 질문을 마주하게 된다. ‘도대체 현실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왜 현실에서 도피하려고 할까?’ ‘탈현실화된 미래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의 김대식 교수가 뇌과학, 컴퓨터과학, 인류학을 통해 이 질문들에 답한다. |
우리에게 메타버스라는 단어는 이제 더 이상 생소한 단어가 아니다. 방송을 포함한 각종 매체에서 메타버스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쓰이고 있으며 이제는 메타버스를 듣고 쓰는 우리들 조차도 크게 이질감이 없다. 하지만 메타버스는 아직 우리에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아직 꿈의 세계이다. 이 책에서 그 한계를 정확하게 짚어주고 있다. 이 책은 메타버스라는 것이 무엇이고 우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고 가야하는 지에 대한 글이다. 내용이 쉽고 짧아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뚜렷한 반면에 뭔가를 배우려고 하는 독자에게는 조금은 실망감을 안겨 줄 것이다. 내용이 너무 일반적이고 이미 다른 매체를 통해 소개된 것들이 많다 보니 뭔가 부족함을 느낄 수 있다. 메타버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쉽게 읽을 수 있는 좋은 책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다른 책을 보는 것이 나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