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화 한국경제학회 회장, 방기선 기획재정부 제1차관 강력 추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3高시대’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대한민국 최고 경제전문가 26인이 뭉쳤다! 2022년 대한민국은 엔데믹을 외치고 희망찬 회복 경제를 기대했지만, 실상은 코로나 시기보다 더 힘든 경제침체의 경보음이 울리며, 극심한 진통을 겪고 있다. 코로나 대응 정책의 후유증으로 인해 40년 만에 찾아온 초인플레이션과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경제를 더욱 얼어붙게 만들었다. 고환율·고물가·고금리·저성장 복합위기로 어지러운 국내외 상황 속에서 우리는 다가올 더 추운 경제 한파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최고 경제전문가 26인의 냉철하고 명징한 미래 인사이트로 일상의 불안감은 낮추고 위기를 극복의 힘을 비축함으로써 회복 탄력성을 길러보자.미국 진영과 중국 진영으로 분열된 천하양분 시대: 갈라진 세상이 가져올 새로운 경제 질서2023년 한국경제는 에너지, 지정학, 경제, 금융 등 여러 차원의 위기가 상호적으로 증폭 전개되는 다층적 ‘복합위기’에 대한 대응이 절실할 것으로 예상된다. 거세지는 미·중 통상마찰과 기술패권 속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충격과 지정학적 대지진은 세계화의 쇠퇴에 불을 지폈다. 저자들은 현재 세계경제 환경을 ‘천하양분’의 키워드로 요약하며, 미국과 중국 두 나라의 양강체제로 ‘갈라진 세상’, 대분열의 시대가 지속될 것이라 전망했다. 하지만 미중 갈등 속에서 한국은 단면적·이분법적 시각을 벗어나 전환적인 기회로 바꾸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양자택일이 아닌 ‘미국 없는 중국 시장, 중국 없는 미국 시장’ 속에 복합적이고 입체적 접근을 시도한다면 세계에서 가장 큰 두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양국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는 뜻이다.복합전환기의 윤석열 정부의 과제: 시험대 위에 오른 윤석열 정부 국민통합의 리더십 발휘 요구윤석열 정부는 2022년 취임 직후 저성장 극복과 성장·복지의 선순환을 목표로 중장기적 체질 강화를 위해 교육, 노동, 연금 3대 개혁과제를 제시했다.여기에 에너지 전환과 경제 안보까지 더하여 현안 하나하나가 중요한 이슈들인 만큼 구체적 내용을 제시하고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지만, 이 어려운 과제들을 물가, 성장, 환율이 모두 불안한 상황 속에서 헤쳐 나가야 한다는 점에서 험난한 여정이 예상된다. 그렇기에 윤석열 정부는 복합전환기의 구조적 전환 과제들을 근본적이고 개방적인 논의를 통해 사회의 공감대를 이끌고, 이해관계자와 정치권을 설득하는 중요한 역량이 요구되며, 어지러운 국제정세 속에 어느 때보다 정치적 리더십과 외교 역량 강화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2023년 교차점에 선 한국 산업과 기업전 세계적 경기 둔화와 가열된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 산업과 기업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하고 나아갈 방향성을 풀어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중국과의 경쟁력에 이목이 쏠리고 있는 반도체와 2차 전지의 전망과, 피할 수 없는 경제 전반의 디지털 전환의 과제, 세계로 뻗어나가는 K-콘텐츠의 성장에 위협이 될 OTT 산업의 변동,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이끌어갈 경제 주체인 스타트업의 현주소 등 주목할만한 산업 이슈들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전환기에 서 있는 우리 산업과 기업들에 대한 전문가의 깊이 있는 분석은 각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맥락 빠르게 이해하고 성장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연일 보도되는 암울한 경제 전망에 『2023 한국경제 대전망』의 저자들은 2023년을 준비하면서 위기의 정점은 반드시 오며,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냉정과 용기라고 전한다. 냉정한 판단력과 대담한 용기를 가져야만 현재 상황을 전화위복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더불어 기회의 신호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경제를 꿰뚫어 보는 힘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 책을 통해 전문가들이 짚어낸 다양한 주제의 글을 읽다 보면, 현재 우리 사회와 국내외 경제를 폭넓게 바라보는 시야가 생겨 불확실성의 시대에도 길을 잃지 않고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지혜와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