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으로]
맥주 한 잔 더 할까?
좋아요.
미지근한 바람이 불어와 주렴 커튼을 테이블 쪽으로 밀어붙였다.
맥주가 시원하군. 남자가 말했다.
아주 산뜻해요. 여자가 말했다.
이건 매우 간단한 수술이야, 지그. 남자가 말했다. 수술이라고도 할 수 없어.
여자는 테이블 다리 밑의 땅을 내려다보았다.
난 네가 이걸 별로 신경 쓰지 않으리라 생각해. 지그, 정말로 별거 아니야. 그냥 공기를 한 번 집어넣는 것과 비슷하다고.
여자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너와 함께 가서 끝날 때까지 내내 함께 있어줄게. 공기를 한 번 주입하면 그다음에는 모든 게 자연스러운 상태로 되돌아간다고.
그다음에 우리는 뭘 하죠?
그다음에는 문제가 없게 되는 거지. 전에 그랬던 것처럼 말이야.
무슨 근거로 그렇게 생각하죠?
그게 우리를 괴롭히는 문제라고. 그게 우리를 불행하게 마들고 있어.
그러니까 그 뒤에는 문제가 사라지고 행복하게 될 거라는 얘기군요. 68쪽
앞뒤 맥락이 없이 읽었더니
몇 가지가 연상되었습니다.
그냥 저의 상상만 가진 채로 이 한 쪽을 읽고는 덮었더니
이 책을 쭈욱 읽고 싶어집니다.
왼쪽 서가에, 정확히는 의자에 앉은 저의 눙에 들어오는 위치에
"업무 개선과 조직을 바꾸는 능력"이라는 메모가 붙어있습니다.
이런 메모가 일상이었다가 잠시 휴지기를 갖고 있으니까
소설도 눈에 들어오는 것이겠죠.
삶은 참 알 수 없는 것입니다. 정말로.
*작가 헤밍웨이(1899~ 1961)의 단편 중에 희곡 형식의 아주 짧은 단편
[오늘은 금요일 Today is Friday]이란 작품이 있다, 때마침 오늘은 금요일
이라서 특별히 다시 읽기를 해보았다,
십자가 형을 받은 예수의 죽음을 바라보는 로마병사들의 심리가 그려진
이 작품은 특히 1920년대 초반 죽음의 주제에 천착한 작가 헤밍웨이의
심리가 투영되어 있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예수의 손에 못을 박고 십자가를 세웠던 로마병사 중
한사람인 등장인물이 예수의 옆구리를 창으로 찌른 것은 십자가 형의
고통(특히 십자가를 세울때 체중이 실리면서 못박힌 부분의 고통이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더 심할 것이라면서)으로 괴로워 하는(어디까지나
로마병사의 시선에서) 그를 위해 해 줄 수 있었던 것이 그것 뿐이었다
라는 대목이 잊히지 않는다,
이 작품은 예수를 처형한 로마병사들이 일과후 주점에서 나눈 대화들로
이뤄져 있는데 짧은 분량 임에도 그 울림은 길다,
얼마전 예수의 죽음을 추적하는 로마 장교를 주인공으로 한 종교영화를
본 적이 있는데 이런저런 내용을 덧붙인다면 이 단편 역시 새로운 관점의
장편 시나리오로 재탄생 할 수 있는 여지가 다분한 것 아닐까도 싶었다,
어네스트 밀러 헤밍웨이 작가님의 [여자없는 남자들]리뷰입니다. 헤밍웨이 작가의 단편집입니다. 노인과 바다는 유명하여 읽어보았지만 단편집은 처음이라 신기했습니다. 14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서로 다른이야기가 아니라 연결되어 있는듯한 느낌이 들어 신선했습니다. 제목이 무슨 뜻인지는 다 읽고 나서도 이해가 안가긴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제목을 보곤 '헤밍웨이 느낌이네'라고 생각했는데 진짜 헤밍웨이 작품이길래 결제!
(무근본)
책 내용보다 놀랐던 건 헤밍웨이가 미국인이라는 것을 작품 해설을 통해 알게됐을 때다
왜 그런 생각을 했는지 모르겠지만 난 헤밍웨이가 스페인 사람인줄 알았다 (아니면 러시아???)
이 책도 첫 단편은 직업이 투우사인 마누엘의 이야기인데 그래서 그런지
헤밍웨이가 미국인이라는 사실이 더욱 더 놀랍고 낯설게 느껴졌다
실은 '여자 없는 남자들'이라는 제목에 많은 궁금증이 생겨 읽기 시작했는데
다 읽을 때까지 제목의 의미가 무엇을 뜻하는지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리뷰를 하기 위해 블로그에 접속하기 전
다시 한번 꼼꼼하게 읽어본 출판사 리뷰를 통해 그 이유를 알게됐다
이 단편들은 '여자가 없는 남자들의 이야기'였던 것이라는 걸
글쎄
헤밍웨이가 의도했던 결과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으나
나에겐 조금 의외의 사실이었을 뿐 크게 놀랍진 않았다
솔직히 말하면 특별히 마음에 드는 단편은 없었다
다만 헤밍웨이의 문체가 내 스타일이라는 것만은 확인했다
간결하고 사실적인, 직관적인 묘사, 염세적인 것 같지만 그러나 모든 인간을 향한 글이었다
그래서 다시 한번 더 놀라게 된다
헤밍웨이, 진짜 미국인 맞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