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다 번 저/김우열 역
박용후 저
정문정 저
한근태 저
미치 앨봄 저/공경희 역
스미노 요루 저/양윤옥 역
가족의 의미
2007년에 출간된 소설이 여러번의 옷을 갈아입고 다시 출간되었다. 좋아하는 소설가는 아니지만 공지영 작가의 책이 출간되면 한 번씩 읽게 되는 것 같다. 읽을 때는 서걱서걱, 마음이 꺼끌되면서도 손에 놓을 수 없는 마력의 작가가 공지영 작가의 책이다. <즐거운 나의 집>은 출간되었을 때부터 작가의 삶과 빗대어 관심을 끌었던 작품이다. 그래서 더 궁금했던 소설이었다. 책의 이야기가 작가 공지영의 삶과 닮아 있다는 점이 사람들의 시선을 한 곳에 모르게 했다. 여러번 이혼을 하고, 서로 다른 성씨의 아이들이 한데보여 사는 이야기. 지금껏 우리가 가족의 테두리 안에서 느꼈던 문제의 범주를 넘어서는 이야기였다.
시간은 급속도로 흐르고 가족은 여러가지 형태로 바뀌어 갔다. <즐거운 나의 집>이 출간될 당시만 해도 공지영 작가가 쓴 가족의 형태가 새로웠는데 요즘에는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이루다 보니 예전만큼 새롭게 느껴지지 않는다. 보편화되지 않는 그들의 문제가 웃기기도 하고, 슬프기도 한 웃픈 상태의 이야기들이 그려져 있는 작품이었다. 지금과는 다른 느낌의 이야기가 이제는 다른 형태의 모습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것이 생경하고, 급속도로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흐름이 눈깜짝할 사이에 흐른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
이혼에 대한 문제와 가정 안에서도의 불화, 자유, 관계의 지속성에 대한 이야기가 18살 위녕의 시선으로 그려져 있다. 예전에는 정말 안된다고 하는 것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이해가 되고,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 그 상황을 바라보게 된다. 어쩌면 그 시절의 나는 어린아이의 마음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지금도 내가 많은 성장을 한 어른으로 생각하지는 않지만 예전보다는 생각하는 울타리가 많이 바뀌었다. 일찍 철이 들었다 해도 아이의 시선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고, 위녕이 여름방학을 이용해 아빠와 새엄마, 여동생과 살았던 곳에서 엄마가 사는 곳으로 이동하면서 아이는 성이 다른 이들과의 만남 또한 아이에게 상처가 되는 것 같다.
상처투성이 가족들이 만난 이야기. 좌충우돌한 이야기가 중간중간 일러스트와 함께 그려져 있어 나와는 또다른 모습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었다. 누군가가 전해주는 이야기가 아닌 작가의 자전적인 동시에 그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들의 고충과 생각들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