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루 밀러 저/정지인 역
이금희 저
김주혜 저/박소현 역
우춘희 저
비마이너 기획/정창조,강혜민,최예륜,홍은전,김윤영,박희정,홍세미 저
김태경 저
『칵테일, 러브, 좀비』 『스노볼 드라이브』
한국 문학의 보석, 조예은 신작 소설 “널 등쳐먹어서 미안해. 넌 대부분 한심하고 가끔 사랑스럽지만 잘 살 거야.” 『트로피컬 나이트』는 누군가에게 힘이 되는 이야기다. 수록작 〈고기와 석류〉를 예로 들면, 이렇다. 남편이 죽고 아들도 떠나 혼자 남은 노인이 있다. 노인은 어린아이의 얼굴을 한 괴물을 우연히 만나고, 괴물을 집 안에 들이고야 만다. 노인은 괴물에게 잡아먹히게 될까? 아니다. 조예은의 이야기는 전혀 다르게 흘러간다. 그의 소설은 힘든 삶을 힘들다고 말하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 공포를 보여주지만 공포가 우리의 삶을 갉아먹도록 내버려두지 않는다. 어쨌든 삶은 계속되니까. 소설이 끝난 뒤에도 이야기는 이어지니까. 이야기가 계속되는 한 조예은의 인물들은 끝까지 살아내고 버틴다. 삶이 계속되는 한 조예은의 이야기는 반드시 밝은 방향으로 나아간다. 신작 소설 『트로피컬 나이트』 또한 그렇다. 『트로피컬 나이트』는 제2회 황금가지 타임리프 소설 공모전에서 〈오버랩 나이프, 나이프〉로 우수상을, 제4회 교보문고 스토리 공모전에서 『시프트』로 대상을 수상한 후, 『뉴서울파크 젤리장수 대학살』 『칵테일, 러브, 좀비』 『스노볼 드라이브』 등을 펴내며 차곡차곡 독자들의 사랑을 쌓아온 조예은의 두 번째 소설집이다. 총과 칼, 선혈과 비명 너머에 자리한 온기를 포착한 첫 단편집 『칵테일, 러브, 좀비』에 이어, 장편소설 『스노볼 드라이브』에서는 애틋하고도 경쾌한 디스토피아 세계를 선보인 바 있다. 『트로피컬 나이트』는 조예은 특유의 독특한 판타지성을 가미한 호러/스릴러풍의 직설적이고 유머러스하면서도 사랑스러운 괴담 여덟 편을 담았다. 기존 작품에서 더 확장된 조예은 월드의 시작이라 할 만하다. |
요즘 읽는 책들은 경계를 허무는 책들이 많다
트로피컬 나이트도 그런책이다
인간과 인간이 아닌무언가의 경계, 시간과 시간과의 경계, 꿈과 현실의 경계를 허무는 이야기들이 가득한 책이다.
「할로우키즈」에서 나는 뒤가 너무 궁금했다. 이제 읽으만하다고 생각하는데 느닷없이 이야기가 끝나버렸다. 투명한 아이로 변한 아이는 어디로 갔을까. 우리주위에 어딘가 있는데 우리가 발견하지 못하는 누군가일수도 있겠다.
「릴리의 손」이 개인적으로는 가장 기억에 남았던 이야기이다.
천선란의 소설 노랜드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이야기였다. 미래의 언젠가 일어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 이야기다.
시간의 틈으로 떨어져 이방인으로 살게 되는 사람들, 살다보면 이방인의 시간과 원래있던 곳의 시간이 만나게 된다는 설정이 좋았다. 언젠가는 만나게 된다.
알아보지 못할지라도. 물리적인 공간과 시간을 우주적시점으로 바라보는 느낌이다.
나는 고독한 이야기들을 좋아하는것 같다.
총 8편의 단편들은 대체로 암울하고 공포스럽다. 고립되고 뛰어넘기 힘든 운명을 타고 나기도 한다. 그러나 작가는 그 와중에도 다정함을 잃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었다.
「가장 작은 신」에서 보여주는 인간의 인간에 대한 연민, 그리고 어떻게든 용기를 낼 수 있게 만드는 선한마음이 작가가 이 혼란한 세상속에서도 놓치고 싶지않은 삶에 대한 여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요근래 길고 어려운 책들을 많이 읽어서인지 빠른 속도로 읽히는 젊은 작가의 젊은 상상력이 돋보이는 단편집을 읽고 나니 머리가 조금은 반짝거리는 느낌이 든다.
1. 재이는 재이를 상처주지 않는 그곳에서 행복할까?
3. 이런 이야기만 읽으면 나도 사실은 다른 차원에서 온 것이 아닐까 하는 망상을 멈출 수 없다.
4. 나는 엄마의 삶을 살아본 적이 없다. 엄마 역시 나의 삶을 살아본 적이 없다. 엄마와 나는 서로를 사랑하지만, 죽을 때까지 서로를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 엄마와 나는 가족이지만, 결국 타인이니까.
(쿠스쿠스 먹어보고 싶다.)
5. 먼지의 신, 나쁜 마음을 먹어 재앙의 신이 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먼지 같이 아주 작고 하찮은 것의 신이 모두를 무너뜨리는 커다란 존재의 신이 되었다는 것이 대단한 것 같기도 하다... 다다익선, 티끌 모아 태산의 나쁜 예인 것 같기도.
6. 사슴과 사랑에 빠져버린 사자를 보는 기분이었다.
8. 평생을 모든 시간대를 넘나들며 한 사람만을 죽여야하는 운명이라니...
드디어 만나게 된 조예은 작가의 소설집. 장편을 좋아하지만, 그녀의 작품이라면 단편도 즐겁게 읽을 준비가 되어 있지. 이번에 만난 책에는 모두 8개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할로우 키즈’ 유치원에서 유령 역학을 맡은 아이가 사라진다. 하지만 아무도 아이가 사라진지 알지 못한다. 우리 곁에 있지만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 혹 우리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 사람에게 무관심한 것은 아닐까?
‘고기와 석류’ 남편은 죽고 아들은 떠나 버렸다. 친구도 이웃도 없는 곳에 살고있는 옥주는 어느 날 자신의 집 앞에서 쓰레기를 뒤지고 있는 아이의 얼굴을 한 괴물을 만난다. 옥주는 그 괴물을 석류라 부르며 곁에 두게 된다. 석류를 곁에 두고 있다면 그녀는 외롭게 죽지 않을까
‘릴리의 손’ 연주는 교통사고로 기억을 잃는다. 깨어난 순간 아는 건 연주라는 이름뿐. 자신에 대해 알지 못하는 그녀는 사고가 일어난 장소를 찾아갔다, 기계 손을 줍게 되고 이것을 고치려 하는데.. 이 세계와 다른 세계를 연결할 수 있는 틈. 그 틈이 있다면 우리는 다른 세상으로 갈 수 있을까?
‘새해엔 쿠스쿠스’ 자신의 직장 학교를 그만두고 집 안에 숨어 지내는 유리. 유리를 설득하기 위해 엄마는 매일 그녀를 찾아온다. 그러던 어느 날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나는 모르코에 있어’라는 메시지를 받는다. 처음에는 무시했지만 조금씩 예전 기억이 떠오른다. 고모의 딸 연우 언니. 부모가 원하는 삶을 살았던 언니가 크게 사고를 친 것은 결혼식 당일 사라진 것은 아닐까? 부모의 말대로 산다면 평탄하게 살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게 진짜 자신의 삶일까?
‘가장 작은 신’ 원인을 알 수 없는 먼지 바람으로 집안에서만 지내는 수안. 어느 날 그녀에게 고등학교 동창 미주가 찾아온다. 다단계 회사에 다니는 미주의 속마음을 알고 있지만, 속는 척하며 미주에게 마음의 문을 연다. 미주는 영구 회원 가입 동의서를 수안에게 건네지 못한 채 갈등하게 되는데..
‘나쁜 꿈과 함께’ 나는 몽마. 인간을 통해 가장 피하고 싶은 것을 본다. 몽마는 은성의 몸에 올라가 가위에 눌리게 한다. 그때 나타나는 기억은 가장 무섭거나 피하고 싶은 건데 은성은 곰인형이다. 무시무시한 몽마인 나는 왜 곰인형의 모습이 된 것일까
‘유니버설 캣숍의 비밀’ 고양이들이 사라진다. 은하도 자신의 고양이 체다를 잃게 되었다. 고양이는 어디로 간 것일까
‘푸른 머리칼의 살인마’ 성의 젊은 영주가 머리에 도끼가 박힌 채 살해된다. 유력한 용의자는 영주의 부인 블루. 하지만 블루는 3년 전 죽었다. 과연 누가 젊은 영주를 죽인 것일까
8개의 단편 모두 매력 있다. 무엇보다 가장 좋았던 것은 ‘고기와 석류’. 혹시 자신이 석류에게 먹힐지도 모르지만, 곁에 두고 싶었던 옥주. 죽음이란 무엇일까? 혼자서 죽는다는 것은 또 어떤 의미일까? 옥주의 마음을 이해할 것 같으면서도 이해할 수는 없었다. 이해할 수 없는 건 내가 아직 젊어서일까? 어떤 책에서 읽었다. 이제는 고독사에 대해 의연해질 필요가 있다고. 그 사람의 인생이 아무것도 아니어서, 외로워서, 고독사하는 건 아니라고. 이제 고독사가 일부 누군가에게 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 말을 할 수 없고, 산 것을 먹어야 하는 그래서 결국은 자신도 먹힐지 모르지만, 석류를 곁에 두고 싶은 옥주의 마음. 모든 현대인의 마음 아닐까?
서늘한 듯 하지만, 그래도 내 주변을 생각하게 하는 책. 조예은 작가의 신작이, 장편으로 나오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