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클럽 분야
분야 전체
북클럽 허브

구독경제와 디지털 마케팅

DMC미디어 | DMC미디어 | 2022년 6월 14일 한줄평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한줄평 (0건)
분야
예술 대중문화 > 대중문화
파일정보
PDF(DRM) 1.20MB
지원기기
iOS Android PC Mac E-INK

책 소개

급팽창 중인 구독경제 시장의 최근 현황과 향후 전망





최근 많은 기업들이 구독경제의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사실 구독경제는 우리에게 그리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오래 전부터 신문, 잡지, 우유와 같은 상품은 구독경제를 통해 우리에게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스트리밍에 대한 대중의 이해, 그리고 소유보다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들이 맞물리면서

과거에는 구독경제와 연결되지 못했던 각종 제품과 서비스들이 구독경제와 함께 우리의 삶을 파고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마케터들의 앞날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무엇보다 상품을 개별로 판매하던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마케팅과 일정 구독료를 받고 정기적으로 상품을 제공해야 하는 비즈니스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는 만큼, 마케터에게 주어지는 목표 역시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가령, 구독경제의 시대는 새로운 소비자를 만들어내는 것만큼이나 기존 소비자들을 어떻게 생태계 안에 유지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마케터들의 통찰을 돕고자 다수 기업과 기관들에서 내놓은 자료를 바탕으로 구독경제의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전망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구독경제의 활성화는 이미 거대한 하나의 흐름으로 보이나, 경제 침체 및 장기 불황 우려가 대두되는 현 상황에서

조만간 구독경제를 도입한 기업들 가운데 어떠한 기업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을 것인지에 관한 옥석 가리기도 분명하게 나타날 전망이다.

이와 같은 전망을 바탕으로 구독경제에 관심이 있는 마케터들이 자신들의 업무에서 어떠한 준비와 대응을 해야 할 지 고민해 보자."

목차

1. 급속도로 팽창하는 구독경제
1.1. 지난 10년간 연평균 17.5%씩 성장해 온 구독경제
1.2. 밀레니얼과 Z세대가 구독경제의 핵심 소비층
2. 구독경제의 향후 전망
2.1. 다양한 소비재 브랜드의 구독경제 도입
2.2. 저관여에서 고관여 제품으로 확장하는 구독경제
2.3. 개인정보 보호 강화로 구독경제 더욱 활성화
2.4. 인플레이션이 구독경제 성장의 걸림돌될 수도
3. 마치며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