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클럽 분야
분야 전체
북클럽 허브

타깃을 이해하는 디지털 마케팅 전략

DMC미디어 | DMC미디어 | 2022년 2월 17일 한줄평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한줄평 (0건)
분야
예술 대중문화 > 대중문화
파일정보
PDF(DRM) 7.84MB
지원기기
iOS Android PC Mac E-INK

타깃을 이해하는 디지털 마케팅 전략

책 소개

타겟 마케팅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태어난 시기가 비슷하다고 그들이 비슷한 라이프스타일을 가질 것이라고 짐작하는 것은 물론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최소한 그들이 항유하는 시대상과 문화, 콘텐츠, 환경은 다분히 그들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DMC리포트에서는 광고를 위한 타겟 스터디를 지속해 오고 있다.

그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들의 디지털 라이프를 이해하는 것이 우선된다.

여기에 20대에서 50대까지, 그리고 다양한 연령대로 만들어진 1인가구에 대한 디지털 라이프 스터디를 제안한다.



20대

만 나이를 기준으로 1992-2003년 출생, 즉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태어난 ‘Z세대’가 대거 분포된 오늘날 20대는 태어났을 때부터 디지털 환경으로부터 노출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아직까지 경제활동 참여율이 저조하면서도,

갈수록 심화되는 일자리 부족 현상으로부터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세대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신 트렌드에 가장 민감한 집단으로서, 각종 인터넷 서비스의 잠재 고객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요즘과 같은 언택트 사회 속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가 새롭게 등장하거나 재조명 받으면서, 많은 기업들이 20대를 주 타깃으로 삼고 있는 실정이다.



30대

밀레니얼 세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30대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그러나 급변하는 트렌드와 일상생활 속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끊임없이 접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30대만의 사고방식이나 디지털 이용 행태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40대

최근 몇 년 간 각종 디지털 마케팅 시장 내 초점이 주로 젊은 2030대의 ‘MZ세대‘로 향했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들만큼 중요하게 눈 여겨 봐야할 집단이 소위 ‘X세대’로 불리는 40대 소비자 층이다.

비록 이들은 젊은 MZ세대처럼 새로운 마케팅 트렌드를 주도하지는 않지만, 상대적으로 큰 구매력을 갖고 있는 만큼,

특정 트렌드를 주류로 확산시키는데 핵심 역할을 도맡고 있다.



50대

만 나이 기준으로 1962-1971년 출생, 즉 1960년대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오늘날의 50대는 X세대와 베이비붐 세대가 걸쳐 있는 세대이다.

현대 사회의 50대는 과거보다 노화 속도가 둔화되어, 젊고 활동적이며 트렌드 변화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는 세대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타 세대에 비해 비교적 경제적인 여유를 갖춘 50대는 삶의 질을 중요시 여기며,

여가/문화/생활 등에서 자신을 위한 가치 소비를 즐기는 주체적 소비자로서의 성격이 두드러진다.



1인가구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국내 1인가구 수는 664만 가구에 이르며, 오는 2047년에는 832만 가구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전체 가구 수의 37.3%에 해당하는 수치로, 시장 차원에서는 전통적인 생애 단계 외

보다 개인화된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및 가치관에 부합하는 제품/서비스 기획 및 마케팅 전략 구안이 갈수록 중요시됨을 의미한다.

물론 1인가구가 다양한 연령대와 여러 사회학적 특성을 포괄한다는 점에서 공통의 집단적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 다소 넌센스처럼 들릴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에게는 뚜렷한 ‘자기 주도적’ 성향이 나타나며, 동시에 생활·경제면에서 겪는 다양한 애로사항으로 인해 여가 활동에 있어

다소 활기가 떨어진 모습이 발견되어,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 탐색에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목차

PART 1. 인구통계학적 특성
1-1. 인구 구성
1-2. 소득 및 소비 지출
1-3. 성향 및 가치관 분석
PART 2. 여가 생활
2-1. 근무 시간
2-2. 주요 여가 활동
2-3. 여가 활동 동반자 및 만족도
PART 3. 인터넷 일반 및 포털 사이트
3-1. 인터넷 접속 행태
3-2. 포털 사이트 이용 서비스/이용률
3-3. 포털 사이트 이용 시간
PART 4. 인터넷 쇼핑
4-1. 쇼핑 스타일
4-2. 인터넷 쇼핑 채널
4-3. 인터넷 쇼핑 주 구매 품목 및 주 이용 쇼핑몰
PART 5. 소셜 미디어
5-1.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
5-2. 주 이용 소셜 미디어 및 시간대
5-3. 소셜 미디어 주요 활동 및 즐겨 찾는 정보/콘텐츠
PART 6. 인터넷 동영상
6-1. 인터넷 동영상 시청 행태
6-2.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및 콘텐츠 선호
PART 7. 디지털 광고 수용 지수
7-1. 디지털 광고 수용 지수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