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화 저
얀-베르너 뮐러 저/권채령 역
승지홍 저
설규주 저
필리프 비옹뒤리,레미 노용 공저/이재형 역
해롤드 제임스 저/안세민 역
10대를 위한 선거수업이라고 시작하지만, 어른이 읽어도 좋을 내용의
미래를 바꾸는 정치 사용 설명서네요. ^^
정치가 무엇인지 시작부터 심오하게 들어가지만,
중반부터는 우리나라 정치 이야기가 나오면서 아이도 재미있게 읽더라구요.
물론 혼자 읽기엔 내용이 어려운 부분이 많아서 함께 읽었습니다.
정치가 무엇인지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다른 동물과 어떻게 다른지 부터
설명하고 정치로 들어가니 좀더 쉽게 이해가 간다고 할까요?
그 정치의 주인이 누구인지에 따라 다양한 정치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국민이 주권을 행사하는 나라가 생겨난 시점에 대해 생각해 보기도 합니다.
역사를 어느 정도 접하고, 시대 흐름을 인지하는 연령이 보면 좋은 책이지요.
요즘은 한국사나 세계인물도 일찍 접하는 편이지만 사회와 정치 경제까지는
어린 나이에 접하기 쉽지않은 것 같습니다.
요 책도 다소 어휘들이 쉽게 풀어진 편은 아니지만, 중간 중간 역사적인 부분이 나오니
울 따님은 재밌어 하더라구요. ( 아는 인물들이 나온다는 이유로요...)
10대를 위한 선거수업이라고 하는 만큼 내용이나 어휘가 확실히 수준이 있어요.
각 선거제도의변화나 군주제, 공화제 등 다양한 말들이 나오기에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개념이 어느정도 있어야 술술 읽을수 있을듯 합니다.
울 따님도 어렵게 느낄 책이라 저와 함께 했는데 어른이 읽어도 참 좋네요~~~!!
중간 중간 자신의 생각도 말해 봅니다~!!
반에서 정치력을 행사하는 강한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부터...ㅎㅎㅎ
아이의 학교 생활에 접목해서 이야기 하니 더 와닿는 것 같더라고요. ^^
내용이 아이에게 어렵게 느껴지는 책이라 한페이지씩 번갈아 읽기도 합니다.
혼자 읽는 것보다 확실히 한페이지씩 읽으면 아이도 부담이 적고,
함께 읽으면서 의문점을 좀 풀수도 있으니 흥미있게 읽게 된다는요~!!
가장 기본이 되는 정치가 무엇인지를 알고 나니,
왜 권력을 분리하는지도 이해하게 되고,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가 다른게 무엇인지도 나온답니다.
우리나라에서 법과 제도에 따라 통치가 시작된 시기도 잘 알려 줍니다.
미국의 역사가 짧다고는 하지만, 법과 제도에 따른 정치는 우리나라가 한참 늦게시작!!
내용이 어렵지만, 엄마와 함께 읽으니 그래도 읽는 재미가 있나봐욧~~!!
10대를 위한 선거수업, 미래를 바꾸는 정치 사용설명서는
정치는 나와 상관없다는 생각을 버리고, 내가 아니면 세상을 바꿀수 없다는 것을
작은 사회인 학교에서 아이들을 괴롭히고 군림하는 아이들에 맞서는 것에서 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한페이지씩 번갈아 읽다보니 서서히 재미난 부분으로 넘어갑니다.
초반부는 정치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면서 권력, 정부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 정치사에 대해 이야기 해 주고 있어요.
1부 의 마지막 부분이 되니 아이가 아는 척도 하고, 재밌게 읽더라고요. ㅎㅎㅎ
아무래도 아는 인물들이 나오고, 우리 역사의 가까운 시기에 일어난 일들이라
엄마 아빠의 설명도 있었던 일들이라 더 쉽게 받아들입니다.
요즘엔 역사책도 정말 다양하게 재미난 것들이 많으니요.
다양한 선거제도도 알아보고, 특히나 18세에도 선거하는 나라가 많은데,
우리나라는 왜 못하는지까지도 생각해 보게 합니다.
울 따님은...아직은 아무나 막 찍는 나이라 안되는게 아닌가? 하고 말하네요. ㅎㅎㅎ
아이도 하나가 아니라 둘, 셋을 낳아야 아이들끼리 정치를 한다고 하죠?
사람이 모이면 정치는 일상이 됩니다.
10대를 위한 선거수업은 딱 초등 중학년이상에게 좀더 바른 정치관념을 심어주고,
중학생까지도 참고하면 좋은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정치에 관련되 어휘가 풍부하고 정의를 어느정도 쉽게 정리해 주고 있거든요.
울 따님은 아직은 어렵다고 하는지라...
일년후에 다시 읽어 보고 싶은 책이랍니다~!!
『10대를 위한 선거 수업』
모두를 위한 정치!
미래를 바꾸는 정치 사용 설명서!
이런 카피가 있는 선거수업 책~
왠지 낯설고 어색하기만 합니다.
중고등학교 시절 배웠던 교과서에 몇 페이지가 전부였던 주제가 한권에 책에 쓰여있다는 것만으로 놀라운데..
미래를 바꿀 수 있다!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호기심이 생깁니다.
고등학교에서 정치와 법, 사회 문화, 경제 등 일반사회 과목을 가르치는 승지홍 선생님이 집필한 『10대를 위한 선거 수업』
그 안에는 어떤 내용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요즘 서평을 하면서 저도 모르게 분석하고 파해치고 평을 합니다.
가끔은 내가 내린 평이 과연 옳은 것일까?
한번 더 생각해 보게 됩니다.
세상 모든 글은 주관적이다!
알고 계시지요?
오래 전 대학에 입학하자
큰 혼돈이 생겼던 기억이 납니다.
대학 1년을 어떻게 보냈는지....
갑자기 여유로워진 시간표!
내가 믿고 있던 세상과 다른 시선들!
특히, 정치 관련해서 당혹감을 감출 수 없었습니다.
내가 믿고 있던 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충격은 이루 말할 수 없었습니다.
특히, 사실만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교과서에 감추어진 진실은 실망감을 감출 수 없었습니다. 책 좋아하던 제가 반년 정도는 전공 서적 이외의 책은 거부감이 생기더라고요.
그런 의미에서 10대에 읽어 볼 수 있는
『10대를 위한 선거 수업』 !
제목만으로도 세상 참 좋아졌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내가 생각하는 것을 말할 수 있는 세상!
언론의 자유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감사하게 됩니다.
문득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이란 제목의 시가 있습니다.
내가 중고등학교 시절에 이 책을 접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러면 조금은 더 뜨거운 가슴으로 살 수 있었을까요?
지금도 충분히 뜨겁긴 합니다...^^
우리는 물과 산소 없이는 살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선거도 마찬가지 입니다.
우리가 우리의 권리를 잊었을 때,우리는 참혹한 대가를 지불해야 합니다.
아이들이 태어나고 자라면서
전 선거를 할 때 항상 내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 미래를 생각하게 됩니다.
지금보다는 더 나은 사회를 이루기 위해 현재를 준비해야 합니다.
우리의 미래를 이끌 10대들이 꼭 읽어보았으면 하는 책!
『10대를 위한 선거 수업』
우리의 멋진 미래를 위해 같이 준비해요~
이 책에는 정치와 민주주의 의미 그리고 선거와 권리 등
다양한 지식과 와 활동이 잘 요약 정리 되어 있습니다.
요즘 사회 교과서가 이렇게 출판된다면 지루하지 않게 재미있게 수업을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책에 나오는 대통령 임기에 대한 깜짝 상식 입니다.
1987년 개정된 헌법의 부칙 제 1조에 "이 헌법은 1988년 2월 25일 부터 시행한다." 라고 되어 있고 제 2조 2항 에는 "이 헌법에 의한 최초의 대통령 임기는 이 헌법 시행일 (2월 25일) 로 부터 개시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제 19대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는 2017년 5월 10일 부터 2022년 5월 9일 까지 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공직선거법 제 14조 1항에 보면 "궐위로 인한 선거에 의한 대통령의 임기는 당선이 결정된 때부터 개시된다."
바로 국민이 이루어낸 국민의 권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