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분야 전체
크레마클럽 허브

해양사의 명장면

신명호,조세현,이근우,김문기 저/박원용 역 외 1명 정보 더 보기/감추기 | 산지니 | 2019년 10월 21일 리뷰 총점 0.0 (0건)정보 더 보기/감추기
  •  종이책 리뷰 (0건)
  •  eBook 리뷰 (0건)
  •  종이책 한줄평 (0건)
  •  eBook 한줄평 (0건)
분야
역사 > 세계사
파일정보
PDF(DRM) 16.74MB
지원기기
크레마 PC(윈도우 - 4K 모니터 미지원)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안드로이드패드 전자책단말기(일부 기기 사용 불가) PC(Mac)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6명)

저 : 신명호 (申明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을 마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조선왕비실록』(역사의 아침, 2007), 『고종과 메이지의 시대』(역사의 아침, 2014), 『조선왕조 스캔들』(생각정거장, 2016), 『조선시대 해양정책과 부산의 해양문화』(한국학술정보, 2018) 등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을 마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조선왕비실록』(역사의 아침, 2007), 『고종과 메이지의 시대』(역사의 아침, 2014), 『조선왕조 스캔들』(생각정거장, 2016), 『조선시대 해양정책과 부산의 해양문화』(한국학술정보, 2018) 등이 있다.
저 : 조세현 (曺世鉉)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석사과정을 마치고 북경사범대학 역사과에서 중국근현대 정치사상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淸末民初無政府派的文化思想』(中國,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3年), 『동아시아 아나키스트의 국제교류와 연대』(창비, 2010년), 『부산화교의 역사』(산지니, 2013년), 『천하의 바다에서 국가의 바다로』(일조각, 2016년) 등이 있다. 동아시아 근대 사상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아시아 해양사를 공부하고 있다.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석사과정을 마치고 북경사범대학 역사과에서 중국근현대 정치사상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淸末民初無政府派的文化思想』(中國,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3年), 『동아시아 아나키스트의 국제교류와 연대』(창비, 2010년), 『부산화교의 역사』(산지니, 2013년), 『천하의 바다에서 국가의 바다로』(일조각, 2016년) 등이 있다. 동아시아 근대 사상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아시아 해양사를 공부하고 있다.
저 : 이근우 (李根雨)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삼서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전근대 한일관계사 및 쓰시마섬의 역사이다. 저서로는 『고대 왕국의 풍경, 그리고 새로운 시선』 , 『부산 속의 일본』, 『전근대 한일관계사』(공저), 『일본전통사회의 이해』(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속일본기』, 『영의해 역주』, 『무가와 천황』, 『역주 일본서기』(공역)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삼서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전근대 한일관계사 및 쓰시마섬의 역사이다. 저서로는 『고대 왕국의 풍경, 그리고 새로운 시선』 , 『부산 속의 일본』, 『전근대 한일관계사』(공저), 『일본전통사회의 이해』(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속일본기』, 『영의해 역주』, 『무가와 천황』, 『역주 일본서기』(공역) 등이 있다.
저 : 김문기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현재 한국해양수산아카이브센터장. 하동에서 태어나 20대부터 부산에서 지냈다. 부산대학교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수료를 마치고, 부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소빙기(Little Ice Age)라는 기후변동이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을 연구했으며, 현재는 박물학과 해양어류지식의 역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공저로는 『여섯 빛깔 해양사』(산지니, 2019), 『바다를 읽다: 바다와 인류문화의 관계사』(국립해양박물관, 2016), 『19세기 동북아 4개국의 도서분쟁과 해양경계』(동북아역사재단, 2008), 『한국지식지형도 동양사1』(책세상, 2007) 등...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현재 한국해양수산아카이브센터장. 하동에서 태어나 20대부터 부산에서 지냈다. 부산대학교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수료를 마치고, 부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소빙기(Little Ice Age)라는 기후변동이 동아시아에 끼친 영향을 연구했으며, 현재는 박물학과 해양어류지식의 역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공저로는 『여섯 빛깔 해양사』(산지니, 2019), 『바다를 읽다: 바다와 인류문화의 관계사』(국립해양박물관, 2016), 『19세기 동북아 4개국의 도서분쟁과 해양경계』(동북아역사재단, 2008), 『한국지식지형도 동양사1』(책세상, 2007) 등이 있다.
역 : 박원용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석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소비에트 러시아의 고등교육 제도 개혁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소비에트 러시아의 정치 문화를 다룬 “집단기억의 강화, 왜곡, 은폐: 1920년대∼1930년대 러시아의 시각 이미지를 중심으로”, “냉전기(1950∼1975) 올림픽에서의 미국과 소련의 이미지 전쟁”, “동청철도 건설과정을 통해 본 세기 전환기의 러시아 극동”, “19세기 중반 20세기 초 러시아 전제정의 극동 식민화 재고” 등이 있다. 저서로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신체문화와 스포츠≫, ≪해양사의 명장면≫...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석사 학위를 받은 후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소비에트 러시아의 고등교육 제도 개혁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 소비에트 러시아의 정치 문화를 다룬 “집단기억의 강화, 왜곡, 은폐: 1920년대∼1930년대 러시아의 시각 이미지를 중심으로”, “냉전기(1950∼1975) 올림픽에서의 미국과 소련의 이미지 전쟁”, “동청철도 건설과정을 통해 본 세기 전환기의 러시아 극동”, “19세기 중반 20세기 초 러시아 전제정의 극동 식민화 재고” 등이 있다. 저서로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신체문화와 스포츠≫, ≪해양사의 명장면≫(공저), ≪스포츠가 역사를 말하다≫(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에릭 홉스봄 평전≫, ≪역사에 대해 생각하기≫, ≪E. H. 카 평전≫, ≪10월 혁명: 볼셰비키 혁명의 기억과 형성≫ 등이 있다.
역 : 박화진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일본 도쿄 대학교 대학원 일본사학과 석사ㆍ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부경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韓ㆍ日兩國における近世村落の比較史的硏究』(1992), 『일본 문화 속으로』(2002, 공저), 『부산의 역사와 문화』(2003), 『근대 부산 해관과 초빙 서양인 해관원에 관한 연구』(2006, 공저), 『에도 공간 속의 통신사』(2010, 공저), 「일본 근세 농민운동에 관한 고찰」(1997), 「일본 근세 대판만어촌의 타국출어에 대한 고찰」(1999), 「일본 근세 어촌사회의 성립과 변모」(2...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일본 도쿄 대학교 대학원 일본사학과 석사ㆍ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는 부경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韓ㆍ日兩國における近世村落の比較史的硏究』(1992), 『일본 문화 속으로』(2002, 공저), 『부산의 역사와 문화』(2003), 『근대 부산 해관과 초빙 서양인 해관원에 관한 연구』(2006, 공저), 『에도 공간 속의 통신사』(2010, 공저), 「일본 근세 농민운동에 관한 고찰」(1997), 「일본 근세 대판만어촌의 타국출어에 대한 고찰」(1999), 「일본 근세 어촌사회의 성립과 변모」(2004), 「일본 그리스챤 시대 규슈지역에 대한 고찰」(2005), 「통신사행의 최종 목적지, 에도」(2009), 「조선 시대 민중의 이국관과 풍속상」(2010), 「조선 시대 국경지역의 이국관」(2011)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한줄평 (0건)

0/50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