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지 저
권일용,고나무 공저
김상욱 저
박정민 저
김유진 저
주언규 저
“의대에 간 지 4년 만에 드디어 의사가 되기로 했다”
한량 의대생에서 열혈 정신과 의사가 된 김지용의 슬기로운 정신과 생활 2017년 3월 18일, 젊은 정신과 의사들이 진행하는 팟캐스트 [뇌부자들]이 처음 업로드됐다. 레지던트를 막 마친 정신과 의사 6인이 대본을 쓰고 녹음해 편집한, 그야말로 한 땀 한 땀 ‘가내수공업’으로 만든 방송. 큰 기대는 없었다. 그러나 결과는 예상 밖이었다. 첫 방송 후 한 달 남짓, 아이튠즈 전체 차트 2위로 올라선 것이다. 때는 각종 시사 팟캐스트가 1, 2위를 다투는, 팟캐스트 전성시대였다. 『어쩌다 정신과 의사』는 [뇌부자들]을 탄생시킨 김지용의 첫 단독 저서다. 그는 그동안 팟캐스트와 유튜브에서 미처 꺼내놓지 못했던 숨은 이야기를 책에 털어놓았다. 책에는 공부는 잘하지만 뭘 해야 할지 막막했던 청년이, 진짜 정신과 의사가 되기까지 10년간 겪은 좌충우돌 이야기가 촘촘하게 실려 있다. 그동안 많은 정신과 의사가 책을 냈고, 다양한 매체에서 정신과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분명 성과도 있었다. 그러나 저자는 아직도 굳건히 남아 있는 정신과의 ‘높은’ 문턱을 더 낮추고 싶다는 바람으로 이 책을 썼다. 기존 정신과 의사의 책들이 다른 사람의 마음 풍경을 관찰자 입장에서 해석하거나 삶의 문제에 해답을 주는 ‘산꼭대기의 현자’ 같은 자세를 취했다면, 이 책에는 ‘정신과 내부자들만 아는 정신과 의사’ 그리고 ‘인간 김지용’이 등장한다. |
[김지용의 아직도 고민] 그냥 다 포기하고 싶어요 – 마지막 회
2021년 09월 28일
[김지용의 아직도 고민] 자꾸만 상대에게 의존하게 되는 저, 문제인가요?
2021년 09월 08일
[김지용의 아직도 고민] 착한 아이 콤플렉스, 벗어날 수 있을까요?
2021년 08월 24일
[김지용의 아직도 고민] 항상 머릿속에 걱정들이 가득해요
2021년 08월 03일
[김지용의 아직도 고민] 이런 이야기도 공감해줘야 할까요?
2021년 07월 20일
[김지용의 아직도 고민] 최악의 상황을 자꾸 떠올리게 됩니다
2021년 07월 06일
[김지용의 아직도 고민] 부모의 이혼이 트라우마가 됐어요
2021년 06월 22일
[김지용의 아직도 고민] 사랑하는 가족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2021년 06월 08일
[김지용의 아직도 고민] 새로운 사람을 만날 자격이 있을까요?
2021년 05월 25일
[김지용의 아직도 고민] 사람들과 친해지고 싶은데 무서워요
2021년 05월 11일
[스테디셀러가 궁금해] 심심 : 깊은 마음을 들여다보는 인문 심리서
2020년 10월 07일
[책읽아웃] 이런 걸로, 정신과 가셔도 됩니다 (G. 김지용 정신의학과 전문의)
2020년 09월 10일
어쩌다 정신과 의사 뇌부자들 김지용의 은밀하고 솔직한 진짜 정신과 이야기
김지용 저 | 심심 | 2020년 07월 27일
원래 정신과 관련 도서나 정신과 의사가 쓴 책에 관심이 많아서 이 책을 구입해서 읽어보게 되었다. 책 쓰신 작가님이 글을 깔끔하게 잘 쓰셔서 술술 읽히고 좋았고, 정신과에 대해 몰랐던 것들도 알게 되어서 좋았다. 딱딱하거나 어렵지 않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 정신과에 관심이 있는 일반인들이 널리 읽어도 좋은 책인 것 같다.
책의 좋은 점이 다른 사람의 인생을 볼 수 있어서인 것 같다.
김지용 님이 어쩌다 정신과 의사가 되었고, 정신과 의사로서 살고 있는 현실을 말해준다.
심리 상담과 정신과 치료 둘의 분류가 미묘하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조금 안 것 같다.
정신과 치료 시 약을 쓰는지 알았고, 상담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을 해결 할 수 있겠구나 했다.
정신과 치료 시 치료 시간이 거의 대부분 3분이지만,
작가님께서는 예약제로 20분에서 많게는 40분을 사용하시는 듯하다.
상담 시간이 짧고 길고가 상관없다고 하셨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작가님께서는 길게 하셔서 그나마 괜찮은 정신과 의사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
그것도 짧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의 문제를 풀기 위해서 직접 오는 환자라면 괜찮지 않을까 한다.
상담가도 정신과 의사도 뿌리 깊은 마음의 골을 치료할 수 있을까?
환자 본인의 의지와 노력이 가장 크지 않을까 싶다.
정신과와 정신과 의사에 관하여 평소 알기가 어렵다. 이 책은 생각보다 편하게 접근할 수 있었다. 생각보다 글을 쉽게 쓰는 편이고, 본인의 경험을 통해 풀어써서 이해를 하기가 쉬웠다. 유급을 2번이나 당한 본인의 과거를 이렇게 써도 되나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인간이면 누구나 그럴 수 있고 또 그래서 이 책을 읽는 사람의 마음을 열 수 있겠다 싶었다. 저자를 이전에 알지 못했지만, 이 책을 보고 나서 그가 운영하는 유투브 채널도 한 편 봐야겠다.
그동안 만나왔던 정신과 관련 책에서는 보통 상담한 환자의 사례를 들어서 얘기해주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책은 저자 자신의 이야기가 많다. 어쩌다가 정신과 의사가 되었는지 시작해서, 팟캐스트를 하면서 이 책을 내놓게 되었는지까지 이야기한다. 물론 그 중심에는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들을 위한 내용이 가득하다. 우리의 정신을 돌보는 의미를 담아서 말이다.
정신과의 문을 두드리는 사람들, 두드리고 싶지만 망설이는 사람들 많을 것이다. 나 역시 언젠가는 상담을 좀 받아야 하지 않을까 싶은 마음이 종종 있었으니. 그러면서도 궁금했다. 도대체 그 안에서는 어떤 상담을 하고, 어떻게 아픈 마음을 치유하는 것일까. 무엇보다 의료진을 믿고 그 문을 두드려야 하는데 어떻게 그 믿음을 판단해야 하는지도 모르겠다. 저자의 이야기를 듣고 있자면, 우리가 상담이 필요할 때 이런 의사를 찾아가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든다.
고고학자가 꿈이었던 그가 의대에 가고, 정신과 의사가 되어 환자들을 돌본다. 무엇보다 이 책에서 언급하는 그의 마음은 사람들이 정신과를 생각하는 문턱을 낮추고 싶어했다. 알게 모르게 생긴 선입견을 없애고 싶어했다. <뇌부자들>의 팟캐스트는 그렇게 시작되었다. 사람들의 정신과에 대한 편견을 없애는 데 굉장한 역할을 한 것 같다.
정신과에 대해 편하게 생각해도 될 것 같다는 믿음으로 마음이 힘들 때 한번은 문을 두드리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