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리 저
김초엽 저
이미예 저
정영욱 저
피터 스완슨 저/노진선 역
2022년 03월 31일
요즘. 나의 삶의 주제는 죽음과 삶이다. '삶과 죽음'이라고 말하고 싶지만, 슬프게도 '죽음과 삶'이다. 더 정확하게 이야기하자면, '죽음과, 죽음과, 즉음과, 즉음과,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일것이다. 쌓이는 절망과 허무함 속에서 책만이 나의 위로와 답이 되어 주고 있는 요즘이다. 그 속에서 만나게 된 책, '어떤 죽음이 삶에게 말했다.' 종양내과 전문의로서 매일매일 죽음을 앞둔 환자들을 만나는 의사의 책이다.
어떤 상황에서 이 책을 만나냐에 따라 책에서 받는 느낌이 다를 것 같다. 본인이 암을 선고 받고 책을 만난 사람, 가족이 암을 마주하고 이 책을 만난 사람, 가까운 사람을 잃고 이 책을 만나는 사람, 그리고 연말을 맞이해서 더 나은 삶을 위해서 인생의 교훈을 얻고자하다가 이 책을 만난 사람. 내가 어떤 위치에 있냐에 따라 이 책은 하나의 시시한 이야기거리들이 될 수 있고, 한 의사의 일기장이 될 수도 있으며, 또한 누군가는 또 오늘을 산다는 것에 대한 교훈을 얻어갈 것이다. 그리고, 내 인생에서 특별하지 않지만 일상적이지 않은 이 지점에 서 있는 내가 만난 이 책은, 그냥. 시시함이었다. 왜? 다른 사람 이야기니까. 하지만, 다시 말하자면 나는 내 인생에서 '특별'하지는 않지만 '특수한' 위치에 놓여있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보면서, 이렇게 수많은 환자들의 이야기들을 보면서 무언가 느끼기는 조금 힘든 위치에 있다. 혹시 나와 같이, '특수한' 위치에 놓여 있어서 인생의 위로와 답을 얻으려는 사람이라면 크게 무엇을 느낄 수 있을까 싶다. 내 코가 석자인걸. 하지만, 그것이 아니라 연말과 연초를 맞이해서 죽음에 놓인 환자들, 죽음의 문턱을 오고 간 환자들의 이야기를 통하여, '그럼에도 이렇게 나는 건강하게 살아가 있고', '나의 당연한 오늘은 누군가가 갈망한 오지 않을 내일'이었다는 것을 느끼고 싶다면 읽어볼만한 책이다.
위에 너무 냉소적인 후기를 쓴 것 같다. 그렇다고해서 이 책이 안 좋다는 것이 아니다. 목차만 보더라도, 이 책은 끌릴 수밖에 없다. 그리고 실제로 암을 선고받거나, 항암이 치료가 아닌 연명을 위한 조치가 된 환자들, 우리 나라의 '죽을때까지 환자를 붙잡는' 의료체계, 죽음을 준비하는 자세, 그리고 다시 삶을 살아간다는 것에 대하여 많이 생각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을 극복했더니(그렇다면 사실 죽음을 극복했으니 무엇이나 할 수 있어야 하지만!) 그것보다 더 냉혹한 현실(암을 앓은 사람이었다니, 약할까봐 채용을 꺼리는 사회 등), 혹은 당장 내일 죽더라도 사랑을 하고 싶은 내 짝궁의 이야기, 가족의 이야기 등. 여러 이야기들을 보면서 내가, 내 주변에 이런 일을 겪지 않았다면 죽음을 선고받은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어떻게 살아갔는지, 혹은 죽기전까지 어찌했는지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단면이다. 이 책의 저자도 인정한다. 600명의 환자를 돌보고 있다는 글에서 잘 이야기하고 있다. 이 의사에게 이 환자는 600명의 환자 중 한 명이지만, 이 환자에게는 자신의 목숨을 걸고 있는 이 의사 한명만을 바라보고 있다. 600명의 환자를 쳐다보고, 진료하고, '직업'으로서 출근과 퇴근을 하는 의사. 하지만 자신의 생명을 더 늘려줄 것처럼 의사를 바라보는 환자들. 저자는 이 관계의 선을 잘 이해하고 있고, 이 선에서 본인의 일에 최선을 다 한다. 누군가는 거부감을 느끼려나? 저자는 어쩌면 자신은 600명의 신자를 가진 교주와 같은 존재로 환자들에게 있을 수 있다고 한다. 이해하지 못할 사람이 있으려나? 종양학과의 전문의, 특히 서울대학교 병원의 전문의라면 이것은 당연한 일이다. 어디 600명뿐이랴. 그 환자의 가족까지, 모두 "선생님, 제 발 좀 살려주세요."하고 이 전문의를 보고 있을 것이다. 의사는 교만함이 아닌, 환자들의 절실함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그러기에 자신의 일에 사명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엿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실제로 자신의 휴가를 이해해주지 않는 환자에 대한 서운함까지 표현하면 굉장히 솔직하게 이 책을 쓰고 있다. (사실, 당연한 것 아닌가. 의사라도 가족이 있고, 개인 시간이라는 것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의사라는 것도 하나의 직업일뿐이다!) 이렇게 오해받을 수 있는 것들까지 솔직하게 쓰는만큼 종양내과 전문의로서 환자들과의 대화, 나중에 보게 된 환자들의 모습 등을 진솔하게 표현하고 있다.
앞서 이 책에 대하여 '나에게는' 크게 느낄만한 무언가는 없다고 하였다. 하지만, 그것은 나는 지금 앞으로 오는 시간도 지나가는 시간도 모두 양 손으로 붙잡고, 과거로 가지고 앞으로도 가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것이 아니라면 이 책은 누군가에게는 분명히 힐링이 될 책이다. 잔잔하게 지나가고 있는 2022년과, 앞으로 어떤 일이 기다리고 있는지 모르는 2023년을 맞이하면서 한 번은 읽어볼만한 책. 나는 원하던 답을 얻지는 못하였지만, 사람들에게 오늘과 내일, 그리고 오지 않을 어떤 날을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될것이다.
김범석 작가의 어떤 죽음이 삶에게 말했다 리뷰입니다. 어떤 죽음이 삶에게 말했다는 대여로 읽었던 책인데 그동안 관심없던 책인데 대여이벤트에 뜬거보고 한번쯤은 읽어볼만하겠다싶어서 대여로 읽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죽음에 대해서 크게 생각해본적이 없었는데 어떤 죽음이 삶에게 말했다를 읽으면서 이런저런 생각을 많이 하게 됐던 책입니다.......
이 리뷰는 책을 읽고 쓰는 리뷰이기 때문에 내용에 작품에 대한 스포가 포함되어있을 수있고 개인의 호불호가 나타나서 다른 의견을 가진 분들에게 불편함을 드릴수있으니 열람에 주의해주시기바랍니다. 페이백으로 대여해본 작품입니다. 책 소개부터 마음이 아플것같은 느낌이었는데 주변지인이 긴 질병으로 힘들어하는모습을 본 적이 있어서 그런지 삶과 죽음에 대해 더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었습니다.